일상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 – 뉴스의 시대

알랭드 보통 - 뉴스의 시대
‘뉴스의 시대’ 책표지와 저자 알랭 드 보통.

보통씨라고 해야 하나? 이름이 특이해서 기억하던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의 ‘뉴스의 시대’를 읽었다.

알랭드 보통, 그냥 보통씨라고 하자. 보통씨는 일상의 철학자로 불린다. 아마도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우리는 사랑일까’,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과 같은 그의 히트작들 때문이지 싶은데, 어떤 경위로 붙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제법 어울리는 수식어다.

그리고 ‘알랭 드 보통’이란 이름 앞에는 ‘일상의 철학자’외에도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가’라는 수식어도 자연스럽게 붙어 다닌다. 도대체 그런 수식어들은 어디서 만드는 것인지, 누구는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가라고 하고, 또 누구는 ‘파울로 코엘료’가 그렇다고 한다.

아무리 돈 들지 않는 립서비스(Lip Service)라고 하지만 그렇게 남발했다가 베르베르씨와 보통씨가 우연히 만나 서로 자신이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작가라며 다툼이라도 벌일까 걱정스럽다. 프랑스와 영국은 그리 멀지 않다.

알랭 드 보통 - 뉴스의 시대
‘뉴스의 시대’는 전체 8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랭 드 보통의 ‘뉴스의 시대’는 원제와 같이 뉴스 사용설명서이다. 프롤로그에서 뉴스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밝혔는데 상당히 설득력 있다. 뉴스는 종교가 하던 일을 대신할 정도로 그 영향력이 막강해지는데 그 뉴스를 제대로 모르고 있음을 지적하는 그의 글에서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앞부분을 읽다보니 국내 Oh 땡땡 인터넷신문이 생각났다. ‘뉴스는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했던가. 사실보도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뉴스를 생산해내라는 그 문구에서 섬뜩함을 느꼈던 기억이 아직도 뚜렷하다. 자신들이 원하는 세상으로 뉴스를 이용해서 몰아가는 느낌 때문이다.

그 우려는 얼마 지나지 않아 ‘가짜뉴스’라는 형태로 정체를 드러냈고 세간의 우려를 자아냈다. 요즘과 같이 뉴스가 사회를 장악한 세상에서 괴벨스 같은 선동가라면 그가 활동했던 시절보다 더 아주 쉽게 세상을 파멸로 몰아 갈 수 있으리라. 알랭드 보통은 프롤로그 말미에 이런 말을 적어 놨다.

“혁명가들이 그러하듯, 만약 당신이 한나라의 정신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미술관, 교육부, 또는 유명 소설가들의 집으로 향하지 마라. 정치계의 신경중추인 뉴스본부로 곧장 탱크를 몰고 가라.”

기대감을 잔뜩 끌어올리는 프롤로그에서 뉴스의 행간을 읽는 법이라든지 뉴스를 해석하는 방법을 배우고자 했던 것은 순진한 발상이었을까. 책을 읽는 내내 불편함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내용 파악을 떠나 자연스럽지 못한 문장구조 때문에 진도를 뽑는데 애로가 있었다. 이런 비문학적 책은 좀 간결하게 문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괄호사용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책 내용에 대한 좋은 평은 힘들다. 책을 다 읽고 마지막장을 덮었을 때 머릿속엔  알랭드 보통이 내린 마지막 결론 ‘맞춤뉴스’와 프롤로그 내용뿐이다. 이래서는 제대로 판단할 수 없다. 기대에 비해서 실망이 컸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으로 이 책 내용을 자주 인용할 것 같다는 사실. 사이사이에 유의미한 내용들이 제법 있었지만 앞서 이야기한 불편함 때문에 그러한 것들이 모조리 묻히는 느낌이다. ‘뉴스의 시대’를 읽으면서 번역이나 책 편집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었다.

며칠 전 페이스북 친구가 이데일리의 ‘ℓ당 휘발유60원·경유600원 인상 때 미세먼지 감축 최대’라는 기사를 인용하면서, “그냥 올리면 되지 무슨 꽁수를…”이라는 코멘트를 달아 놓은 것을 본 적이 있었다.

“가격 인상을 할 모양이군요.”라는 나의 댓글에 그는 “갑자기 들고 나오는 것이 그럴 것 같네요.”라고 답 글을 주었는데 무척이나 공허하게 느껴졌다.

앞으로는 해석이 필요 없는 뉴스는 접하기 힘들 것이다. ‘혁신적인 디자인’어쩌구 하는 상품뉴스를 ‘새로운 기술 없음’으로 해석하는 정도는 예전 땡전뉴스 시절에 마스터했다 하더라도 여전히 뉴스이해력은 필요하다.

한덕구
Copyright 덕구일보 All rights reserved.
덕구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출처를 밝히고 링크하는 조건으로 기사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 및 각색 후 (재)배포는 금합니다. 아래 공유버튼을 이용하세요.